No Grace
Read:
1 Peter 4:1 - 4:11
" The discretion of a man makes him slow to anger, and his glory is to overlook a transgression. "
( Proverbs 19:11)
I have nicknamed our car “No Grace.” Sunday mornings are the worst. I load the car with all the stuff I need for church, get myself in my seat, close the door, and Jay starts backing out of the garage.
While I am still getting settled, the seat belt warning starts buzzing. “Please,” I say to it, “all I need is another minute.” The answer, apparently, is no, because it continues buzzing until I am buckled in.
This minor annoyance is a good reminder of what life would be like if indeed there were no grace. Each of us would immediately be called to account for every indiscretion. There would be no time for repentance or change of behavior. There would be no forgiveness. No mercy. No hope.
Living in this world sometimes feels like falling into a no-grace sinkhole. When minor flaws are blown up into major indiscretions or when people refuse to overlook the faults and offenses of others, we end up burdened by the weight of guilt that we were never meant to carry.
God, in His grace, sent Jesus to carry the burden for us. Those who receive God’s gift of grace have the privilege of offering it to others on Christ’s behalf:
“Above all things have fervent love for one another, for ‘love will cover a multitude of sins’” (1 Peter 4:8). — Julie Ackerman Link
Father God, the culture around us can seem so
harsh and hard on people when they fail. Help
me to show grace and patience, because You have
been gracious to me and have forgiven my sin.
< When we gratefully acknowledge the grace we’ve received, we joyfully give it to those in need.>
얄짤없음
말씀읽기:
베드로전서 4:1 - 4:11
" 노하기를 더디 하는 것이 사람의 슬기요 허물을 용서하는 것이 자기의 영광이니라 " ( 잠언 19:11)
● 말씀을 생각하며 ●
나는 우리 차에 “얄짤없음”이라는 별명을 지어주었습니다. 주일 아침이 최악입니다.
주일 예배를 위해 모든 필요한 물건을 싣고 좌석에 앉은 후 문을 닫으면 남편 제이가 차고에서 빠져 나오려고 후진을 하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차에서 제대로 자리도 잡기 전에 안전벨트 경고음이 울리기 시작합니다. 나는 “제발, 1분만 더 기다려주면 되는데”라고 내 차에게 말하지만, 그 대답은 분명 ‘안돼’입니다. 왜냐하면 내가 벨트를 맬 때까지 경고음이 계속 울리기 때문입니다.
이런 사소한 짜증스러움은 실제로 은혜가 없다면 우리의 삶이 어떻게 될까 생각하는 계기가 됩니다. 만약 그렇다면, 우리 각자의 무분별한 행동을 당장 책임져야 될 것이고, 후회를 하거나 행동을 바꿀 시간도 주어지지 않을 것입니다. 그리고 용서나 자비도 없고, 소망 또한 없을 것입니다.
가끔 이 세상에서 산다는 것은 때로는 무자비한 씽크홀로 빠져드는 것 같이 느껴집니다. 작은 결함들이 무분별한 행동으로 크게 부풀려지거나 사람들이 남들의 잘못이나 실례를 넘어가주지 않을 때, 우리는 우리가 결코 져서는 안 될 죄의식의 무게에 억눌리게 됩니다.
은혜로우신 하나님은 예수님을 보내셔서 우리를 위해 짐을 지도록 하셨습니다. 누구든지 하나님께 은혜의 선물을 받은 사람들은 그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그리스도를 대신하여 전해줄 수 있는 특권을 가집니다.
" 무엇보다도 뜨겁게 서로 사랑할지니 사랑은 허다한 죄를 덮느니라”
(벧전 4:8).
● 오늘의 묵상 ●
하나님 아버지, 우리가 사는 세상의 문화는 사람들이 실패를 하면
너무도 가혹하고 힘들게 합니다.
주님께서 제게
은혜를 베푸셔서 저의 죄를 사해주셨으니,
저도 은혜와 인내를 보여줄 수 있도록 도와주소서.
<우리가 받은 은혜를 감사하는 마음으로 인정할 때,
우리는 그 은혜를 필요한 사람들에게 기쁘게 줄 수 있다.>
※ providing in english mp3 file recorded by Esther Yoon
※ 위의 글은 our daily bread에서 발췌 편집한 글입니다.
'묵상 > Daily Bre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Waving The White Flag (0) | 2014.07.26 |
---|---|
Living Bridges (0) | 2014.07.18 |
Asking Different Questions (0) | 2014.07.10 |
Uncertain Times (0) | 2014.07.08 |
Not A Hitching Post (0) | 2014.07.07 |
댓글